생각하는 아져씨

[Python] 파이썬 기본 문법 복습 본문

Study/Python

[Python] 파이썬 기본 문법 복습

azeomi 2022. 6. 15. 23:59


원래 기본이 제일 중요한 법

 

코딩테스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파이썬 기본 문법을 복습한다.

내가 가끔 잊어버릴 '뻔' 한 문법을 기록한다.

1. map ()

리스트의 요소를 지정된 함수로 처리해주는 함수
map(함수, 리스트) 또는 map(함수, 튜플)
EX) a = list(map(int, a)) :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int로 반환


2. divmod()

두 숫자를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tuple로 반환하는 함수
divmod(x, y)

3. sys.stdin.readline()

- 파이썬 sys 라이브러리에 정의되어 있는 함수
- 많은 데이터를 입력 받을 때 사용하기 좋음
- input() : 입력의 개수가 많은 경우 동작 속도가 느려 시간 초과 발생

import sys
sys.stdin.readline()
또는
sys.stdin.readline().rstrip()

- sys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는 한 줄 입력을 받고 나서 rstrip() 함수를 꼭 호출
- rstrip() : readline() 입력 후 엔터(Enter)가 줄바꿈 기호로 입력되는데, 이 공백문자를 제거해줌.

4. sort() , sorted()

sort(): 원본을 변형시켜 정렬
- 사용: 변수.sort()
- 알파벳, 가나다순, 숫자는 오름차순

sorted(): 졍렬된 결과를 반환, 원형을 변형시키지 않음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매개변수
- reverse: 기본값은 False(오름차순), True(내림차순)
- key: 정렬을 목적으로 하는 함수를 값으로 넣음. lambda 사용, key 값을 기준으로 정렬되고 기본값은 오름차순

5. ord(), chr()

ord(): 문자열을 아스키코드로 반환하는 함수
>>> ord('a') = 97
>>> ord('z') = 122
- a,b,c,d,e..를 순서대로 index를 얻고 싶을 때,
	int(ord('b')) - int(ord('a')) = 1 이라는 사실을 이용할 수 있다.

chr(): 아스키코드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
>>> chr(65) = A
>>> chr(90) = Z

6. deque

큐 자료구조를 구현할 때 사용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ata = deque([2,3,4])
data.appendleft(1)   >>> 첫 번째 인덱스에 삽입
data.append(5)   >>> 끝 부분에 데이터 삽입
data.popleft(2)  >>> 첫번째 원소 제거
  리스트 deque
가장 앞쪽에 원소 추가 O(N) O(1)
가장 뒤쪽에 원소 추가 O(1) O(1)
가장 앞쪽에 있는 원소 제거 O(N) O(1)
가장 뒤쪽에 있는 원소 제거 O(1) O(1)